top of page

2019

목포

만호동

Mokpo

Manho

유달산자락의 동쪽에 위치한 목포는 무역교역로, 군사요충지, 주요항구로써 때론 독립운동과 민주주의를 꽃피우던 오랜 역사를 안고 있는 목포의 지금의 모습은 1897년 대한제국 때 개항된 이래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으로 곡물수탈의 주요항구로 이용되어 일본인의 주거지(적산가옥)가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에 지어진 건축물들이 근대문화유산으로 볼 것인지 일제의 잔재로 규정할지는 역사를 바라보는 태도에 따라서 다르지만 오늘날 목포시를 위한 역사기록의 장소로 탈바꿈 해 목포시 문화적 자산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목포역을 중심으로 현대에 들어 도시가 확장되면서 구도심으로 남은 이 지역은 근대 건축, 도시 구조, 시기별 사건들을 추측할 수 있도록 그 흔적이 많이 남아있지만 현대의 기능을 수용할 수 있거나 여전히 살고 있고 앞으로도 이곳에 삶의 터전을 유지하며 살아가거나 미래의 주민이 될 이들을 위한 쾌적한 주거환경 개선과 문화재의 원형을 유지하고 활용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Mokpo, which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Mt. Yudal mountain, has a long tradition as a trading port, a military strategic point, and a major port where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democracy are blossomed. Since its opening in 1897, It is used as a main harbor for grafting of grains, so that Japanese settlements (Jeoksan gaok) are formed. The architecture that was built during this period should be regarded as a modern cultural heritage or as a remnant of Japanese imperialism, but it is transformed into a place of historical records of Mokpo city today and utilized as a cultural asset of Mokpo city. With the expansion of the city centered around Mokpo Station, the area remained as a downtown area, but there are still many traces to be able to guess modern architecture, urban structure, and periodic events, but they can accommodate modern features or still live here In order to maintain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and to maintain and utilize the prototype of cultural assets, it is necessary to adopt policie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20C09442.JPG

참가대학 Participating university

남서울대학교(교수 오건수, 한동욱, 양경모)

브뤼셀 자유대학교 (최영순)

국립목포대학교(교수 유창균, 김순웅, 조성진)

바라티 비디야피쓰 건축대학교 (교수 리뚜 데쉬무크, 굴샨 쿠마르 샤르마, 아누즈 케일, 칼파나 파틸)

파리 라빌레뜨 건축학교(교수 피에르 부셰)

Namseoul university(prof. Kunsoo OH, Dongwook HAN, Kungmo YANG)

ULB (Tei-Youngsoon CHOI)

Mokpo National University( Changgyun YOO · Soonwung  KIM · Seongjin CH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inseok LEE)

BVCOA (Ritu DESHMUKH · Gulshan K SHARMA · Kalpana PATLE · Anuj KALE)

ENSAPLV (Pierre BOUCHE)

참가학생 Participating students

남서울대학교: 김나래·김은지·박효진·전현진·공민규 · 김아리옥·박동주·최준영·신영수·염경수·이경민

국립목포대학교: 고나연·이가일·이다솔·성승준·마경민 · 김승원·최윤성

전남국립대학교:  방은서·김장유·김정서·김태연·펭이진

바라티 비디야피쓰 건축대학교: 제니스 페리에라·니미샤 미샬·디팍 바비야·크리슈나 소니· 아움카르 파틸

Namseoul university (Narae KIM·Eunji KIM·Hyojin PARK·Hyunjin JEON·Minkyu KONG · Arioch KIM · Dongju PARK· Junyoung CHOI ·Youngsoo SHIN · Gyungsu YEOM· Kyungmin LEE)

Mokpo National University( Nayeon KO· Gail LEE · Dasol LEE· Seungjun SEONG· Gyeongmin MA · Seungwon KIM· Younsoung CHOI)

Chonnam National University (Eun seo BANG · Jangyou KIM· Jeongseo KIM· Tae yeon KIM· Yijin PENG )

BVCOA (Janice PERIERA· Nimisha MISAL· Deepak VAVIYA· Krishna SONI· Aumkar PATILl)

협력기관 Cooperation

목포도시재생지원센터 : 전은호 (센터장) · 김화무 (선임연구팀장)

Mokpo city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Mr. Eunho CHUN (Director) · Ms. Hwamoo KIM (Senior Research Team Leader)

20C09300 copy.JPG
20C09319.JPG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커커필드   상호: 커커필드 ker.ker.field   전화: 010-5187-7079  

사업자등록번호: 665-87-01786   출판사 신고번호 2020-000010

   개인정보관리책임자: kerkerfield@gmail.com  

Copyright ⓒ2020 커커필드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