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록과 워크숍을 위한 해남의 [조:우]

[encounter] for haenam

"예술, 문화유산을 위한 기록 그리고 나의 이야기"

2022.8.-2023.2. 해남, 제주 그리고 인도(델리, 바라나시, 고아, 코친, 문나르, 뭄바이)

[조우]프로그램의 시작.

주민으로서 지역의 문화유산이 지속될 수 있도록 [조우:해남]을 통해 7명의 정주주민이 해남지역의 관계, 교류 주민을 초대해 ‘나’와 나의 물성을 통한 ‘활동‘과 ’결과물‘을 만났습니다. 3일간 지역의 산과 들과 바다를 여행하며 나의 애씀으로 만들어진 물성의 세계 – 책, 차, 야생화, 시노래, 건축, 빈집활용, 자전거, 음식 등을 통해 교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의식주 환경이 각기 다른 주민들은 해남의 다양한 삶의 공간, 타자 및 사회와 소통 역할을 해주는 각자의 물성, 삶의 다양한 이야기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조우‘가 되었습니다. 이어 제주로 마실을 가 주민들의 다양한 ’기록‘ 방식-사진, 전시, 책, 문화재생 프로그램, 정원, 시평론, 축제 등을 만나는 [조우:제주]를 갖었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 그리고 지역별 다양한 자연생태계의 흐름을 따라 각자의 물성의 예술적 조화와 조우하는 것은 ‘너’를 통해 ‘나’를 만나는 것이며 나의 공간이 내 집에서 지역으로 국가로 확장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거주하는 지구를 우리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정하고 가꾸어 가는 여정을 시작하기 위해 [조우:인도]에 이르렀습니다.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와 환경이 각기 다른 주민이 만나 서로의 장점을 발휘하며 한 달의 여정 끝엔 서로의 물성을 이해하는 워크숍을 구상해 보았습니다. 또한, 해남주민이 만난 인도 책, 지역별 수공예품, 한 달간의 야생화 기록이 담긴 수첩, 매일 기록한 사진과 영상 등과 ‘나’의 ‘물성’과 관련된 오브제들을 전시했습니다.

바라나시 골목에서 출발해 갠지스강 강가의 가트까지 걸으며 전했던 ‘no horn Ring a bell’ 퍼포먼스는 바라나시 골목길을 이용하는 현지 주민과 우리가 적극적으로 ‘조우’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재활용방식과 지역의 꽃을 활용하고, 판소리를 접목하고, 현지에서 찾은 자연재료 도구를 활용하는 것, 갠지스강의 차 예식, 이 모든 것은 우리가 이제껏 해본 적 없는 방식으로 현지 주민과 깊게 소통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조:우]는 지역을 이해하고 대안을 찾기 위한 지역문화유산 기록 예술, 문화프로그램으로 해남 '새들의노래마'을과 함께 기획하였으며 '2022 해남군 지역문화 활력촉진 지원 사업'으로 선정된 프로그램입니다. 2023년 9월 15-17일 전남 해남군 북일면 에루화헌에서 10개의 조우로 구성된 일주일간의 주민 워크숍인 [조우:해남], 2023년 11월 중 5일간 ‘기록’을 주제로 활동하는 제주 지역 주민들과의 만남인 [조우:제주], 2023년 2월 한 달간 인도의 6개 지역의 주민과 자연에 조화로운 활동과 결과물을 만나는 해남 정주주민 현장워크숍 프로그램인 [조우:인도]에 이어 2024년 타 지역의 주민, 물성을 기록, 전시하는 [조우: 인도]를 진행했습니다. 

**자료신청 및 문의: kerkerfield@gmail.com

BRWE86F38328F99_001671.jpg
스크린샷(88).png
BRWE86F38328F99_001670.jpg

[조우:해남] 소책자                             [조우:제주] 소책자                            [조우:인도] 소책자   

     (국문, 2022년, 39쪽)                          (국문, 2022년, 16쪽)                       (국문/영문, 2023년, 143쪽)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커커필드   상호: 커커필드 ker.ker.field   전화: 010-5187-7079  

사업자등록번호: 665-87-01786   출판사 신고번호 2020-000010

   개인정보관리책임자: kerkerfield@gmail.com  

Copyright ⓒ2020 커커필드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